道, 경로당 행복도우미 2개 시군 시범 운영

문경·예천 2개월 시범 운영 조기정착·일자리 창출 최선

2019-03-06     김우섭기자

[경북도민일보 = 김우섭기자] 경북도는 경로당 행복도우미 사업의 조기정착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예천군과 문경시를 대상으로 경로복지사 6명을 선발해 2개월 시범운영에 들어간다.
 예천군은 농촌형으로 운영총괄자(1명) 선발, 프로그램 파트타임 강사(10명 정도) 배치 지원하고 문경시는 도시형으로 행복도우미 5명 선발, 25개 경로당에 행복도우미 배치 책임 운영한다.
 도의 경로당 행복도우미 사업은 단순 시간보내기 식의 정적인 경로당에 행복도우미를 배치, 사랑방이 아닌 건강과 여가, 교육 등 프로그램을 지원해 노후 삶의 활력을 도모하고 경북형 경로당 운영 모델을 정립해 국가시책화, 일자리를 창출한다.
 행복도우미는 도내 등록 경로당 5~6개를 방문, 30명 내외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적합형 프로그램(의료서비스, 여가교실, 건강교실, 평생교육, 공동작업)을 운영하는 경로복지사를 말한다. 경로당 행복도우미는 상근하며 임금은 월 130만원(파트타임 강사)~ 180만원정도를 받는다. 사회복지사, 웃음치료사 등 자격증 소지와 지역 인력을 우대선발한다.
 이들은 오전 9시까지 시군복지센터 또는 거점 경로당에 출근해 크게 4가지 정도 역할을 수행한다.
 오전에는 지역의 5~6개 경로당을 순회하며 시설물 안전 점검을 하며 오후에는 10명 이상 모이는 경로당을 중심으로 수요를 파악해 1일 1~2시간 정도, 주 1~5회 프로그램을 설계해 지원한다.
 프로그램은 지역 보건소, 재능기부자 등과 연계 노인들의 신체적 정서적 건강유지와 증진을 위한 건강운동, 한방치료 등 의료서비스,  노래교실 등 노년의 건전한 여가 취미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여가활동 프로그램, 노인들의 건전하고 건강한 노후생활 영위를 위한 교육상담 권익증진 활동, 경로당 이용 노인 중심으로 지역봉사활동 참여와 공동작업장 운영 등이다.
 김재광 경북도 복지건강국장은 “경로당 행복도우미 선행 시범운영을 통해 문제점을 찾고 5월중 공개 토론회와 경북행복재단의 용역 결과를 반영한 최적안을 만들어 경로당 행복도우미 사업 조기 정착에 차질이 없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