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원의 기획』은 ‘영원’이라는 주제 아래 정은경 평론가가 새로이 주목하는 한국문학의 흐름과 오랫동안 골몰해 온 연구 주제를 한 권에 엮은 책이다.
책 1부는 SF, 페미니즘, 과학 밖 소설에 대한 주제비평이다. 최근 SF 소설 작품을 중심으로 페미니즘 리부트,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며 변화한 현실 인식과 감각, 그로부터 기인한 인류 보편의 소망을 다각도로 들여다본다. 1부 마지막 글 「객체는 어떻게 우리의 세계에 침투해 있는가」는 인간/비인간, 물질/비물질, 문화/자연 등 이분법적 위계질서를 전복하는 신유물론적 관점으로 김수영 시인부터 김훈, 임솔아, 권혜영 소설가의 작품까지 연결해 바라본다.
2부, 3부는 최근 발표된 단편소설을 두 편씩 선정해 서로 비춰보듯 읽고 쓴 비평으로 구성했다.
2부는 타자와의 관계 맺기에, 3부는 세대론에 가려진 세대 내면의 현실에 초점을 맞춰 쓴 글들이다. 오늘날 개인이 맺는 관계가 피상적으로 변하고, 공동체는 파편화되고, 세대 갈등은 심화되어 간다고 하지만, 정 평론가는 작품마다 인물의 마음이 기울어져 가는 방향을 살뜰히 살피며 여전히 가능할 뿐 아니라 어쩌면 인간이 아닌 다른 대상을 향해서도 가능해진, 더 크고 넓어진 사랑과 우정의 양상을 발견한다.
4부와 5부는 정 평론가가 오랫동안 연구해 온 주제인 ‘디아스포라’와 ‘악’을 다룬다. 4부는 탈북민, 난민, 이주민 등 국경을 건너는 인물들을 중심으로 개인에게 국민 정체성을 부여하는 국가의 역할과 한계를 되짚고, 이 시대 개인에게 ‘국민’이라는 정체성과 국가 이념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에 대한 묵직한 질문을 이어 나간다. 5부는 임성순 장편소설 ‘회사 3부작’을 중심으로 ‘사회적 악’이 되길 스스로 선택한 약자들을 통해 자본주의의 구조적 모순을 들여다보고, 장정일 시를 중심으로 ‘사회적 악’을 전복하는 악마적 태도와 형상, 그 근원인 원죄 의식을 되짚으며 거듭 비정해져 가는 시장 자본주의사회에서 진정한 ‘악’은 무엇인지, 진정한 ‘자유’는 가능한지 탐구한다.
저작권자 © 경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북도민일보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