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지난해 인구 감소로 지방소멸 위기를 눈앞에 둔 경북 봉화군 등 전국 11개 시도 기초자치단체 89곳을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했다. 행정안전부가 최근 기금 활용을 위한 투자계획을 받은 결과 전국 122개 지자체에서 총액 1조 3598억 2500만 원의 기금을 요구했다. 신청 규모가 사업 첫해인 올해 예산 총 7500억 원의 약 2배에 달한다.
경북의 경우 군위군 등 16개 인구감소지역과 경주시 등 2개 인구관심지역이 지방소멸대응기금 지급 심사 대상이다. 올해 각 지역에 지원되는 상한선은 인구감소지역 120억 원, 인구관심지역 30억 원(2023년부터 각 160억 원, 40억 원)인데 지자체들이 저마다 사업을 내세움으로써 과당경쟁이 불가피하다.
정부의 기금 운용이 인프라 개선에 치중하는 것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지방소멸대응기금은 주로 문화 시설, 일자리, 주택 개·보수 등을 지원하는 데 사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회입법조사처에서 발간한 ‘지방소멸대응기금의 도입 및 향후 과제’ 보고서부터 예산 낭비 가능성을 날카롭게 지적한다.
국회입법조사처는 한시적 기금인 데다가 매년 성과를 분석한다는 특성을 첫 번째 문제점으로 꼽는다. 즉 중장기적인 정책보다는 근시안적인 단기 성과에 집중할 수 있어서 문제해결의 근본 대책이 되지 못할 수 있다는 염려다. 기금이 소규모 사업에 분산 사용될 경우 ‘언 발에 오줌 누기’식 낭비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인 것이다.
재정 전문가들은 윤석열 정부가 공격적으로 기금 예산을 대폭 확대하는 것은 물론, ‘선택과 집중’ 방식으로 제도를 재설계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제언한다. 돈은 돈 대로 쓰고 성과는 제대로 보지 못해 수십 년 헛바퀴 돌기를 거듭하고 있는 저출산, 고령화 대책 실패의 연장이 돼서는 안 된다는 우려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대비 2050년 인구 추계에 따르면 경북은 약 40만 명(-14.9%)이 감소하고 대구 인구는 무려 약 61만 명(-25.2%)이나 줄어든다.
저작권자 © 경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북도민일보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