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평균보다 0.3%p 높아
7개 특·광역시 중 두 번째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1위
경북 전년 소비자물가 12.7%
18개 시·도 중 상승률 8번째
7개 특·광역시 중 두 번째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1위
경북 전년 소비자물가 12.7%
18개 시·도 중 상승률 8번째
동북지방통계청이 10일 발표한 ‘최근 5년간 대구시 및 경북도 소비자물가 변화’에 따르면 지난해 대구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11.78(2020년 100)로 2018년 대비 12.9% 상승했다. 이는 전국 평균(12.6%)에 비해 0.3%포인트 높은 것으로 인천(13.1%)에 이어 7개 특·광역시 중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대구의 최근 5년간 소비자물가 연평균 상승률은 2.4%를 보였다. 코로나19 및 원자재 가격 상승 등 영향으로 2021년 2.6%, 2022년 5.2%, 2023년 3.5% 등 최근 3년간 상승률 11.8%가 큰 영향을 끼쳤다.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생활물가지수는 2018년 대비 15.0% 올라 전국 평균(14.4%)을 0.6%포인트 웃도는 등 특·광역시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다음으로는 서울(14.8%), 인천(14.7%), 광주(14.1%), 부산·대전(13.3%), 울산(13.0%)이 뒤를 이었다.
대구의 소비자물가는 소금(66.7%), 부추(59.3%), 어묵(58.6%), 양파(56.0%), 오이(52.1%), 보험서비스료(56.7%), 전기료(38.1%), 세탁세제(38.0%), 영화관람료(35.6%), 도시가스(33.4%) 등이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신선식품 지수는 전국 평균(23.6%)보다 1.6%포인트 낮은 22.0% 올라 특·광역시 중 광주(28.3%), 대전(26.4%), 울산(23.6%)에 이어 4번째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폼목별로 과일은 배(71.6%)·키위(49.9%)·복숭아(47.4%)·포도(42.8%), 채소는 부추(59.3%)·양파(56.0%)·생강(54.3%)·오이(52.1%)·브로콜리(48.2%)가 상승을 이끌었다.
지출 목적별로 보면 2018년 대비 식료품·비주류음료(22.6%), 음식·숙박(22.1%), 기타 상품·서비스(19.1%), 가정용품·가사서비스(15.1%), 주택·수도·전기·연료(14.3%)는 오른 반면 통신(-3.3%)은 내렸다.
지난해 대구의 주택임차료 지수는 전세의 경우 2018년 대비 1.9%, 월세는 1.3% 올랐지만 전국 상승률 대비 각각 전세 3.4%포인트, 월세 0.8%포인트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도로 여객수송 지수는 택시료 28.4%, 시외버스료는 19.9% 오른 반면 시내버스료는 변동이 없었다.
학원비는 고등학생 18.3%, 중학생 9.3%, 초등학생 8.8%의 상승률을 각각 기록했는데 전국 평균에 비해 고등학생과 초등학생은 각각 9.4%포인트, 0.4%포인트 높았지만 중학생은 0.8%포인트 낮았다.
경북보다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곳은 강원(14.6%), 충북·전남(13.4%), 충남(13.0%), 제주(12.8%) 등이었다.
경북의 생활물가 및 신선식품 지수 상승률은 각각 13.8%, 21.7%로 전국에서 4번째, 3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식용유(66.4%)와 생강(60.0%)의 오름폭이 가장 컸고 소금(59.6%), 참기름(58.5%), 오이(54.2%), 미나리(51.3%), 풋고추(51.1%) 등이 뒤를 이었다.
또 지난해 경북의 주택임차료 지수는 전세의 경우 2018년 대비 0.2% 오른 반면 월세는 0.1% 하락했다. 도로 여객수송 지수는 시외버스료, 택시료, 시내버스료가 각각 19.8%, 18.9%, 5.5% 상승했다. 경북의 학원비 지수 역시 중학생과 초등학생, 고등학생이 2018년보다 각각 8.2%, 6.3%, 5.0% 올랐다.
저작권자 © 경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북도민일보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