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기상이변으로 발생한 물난리 피해가 워낙 큰 탓에 재해복구가 더디다는 핑계는 초라한 변명으로 들린다. 이미 장마가 닥치고 있으니, 우선순위를 잘 정해서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다시는, ‘소 잃고 외양간 탓하는’ 어리석음은 안 된다.
최근 행정안전부가 밝힌 전국 17개 시·도의 평균 재해복구율은 66.8%인 반면, 경상북도의 17개 시·군의 공사 마무리 비율은 겨우 55.0%다.
경북도내에서 진행 중인 복구사업 2천342 건 중에 1천288 건만이 공사가 마무리됐다는 통계다. 42.7%(999건)는 여전히 공사 중에 있으며, 2.3%(55건)는 아직 설계 단계에 머물러 있다는 한심한 소식이다.
기초지자체별로는 문경시가 234건 중 47건만 준공해 복구율이 20.1%로 가장 낮았다.
피해 규모가 가장 컸던 예천군의 복구율도 54.2%(168건 중 91건)에 그쳤다. 마찬가지로 피해가 집중된 영주시의 경우 63.1%(449건 중 279건), 봉화군은 78.1%(398건 중 311건)다. 이미 남부지방에서부터 장마전선이 형성돼 호우가 시작된 상황이라 도민들의 우려는 이만저만이 아니다.
왜 이렇게 재해복구 속도가 느릴까. 무엇보다도 지난해 기상이변으로 물난리 피해가 크게 발생하면서 공사 지역과 면적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집중호우 피해가 컸던 경북의 경우 진행해야 할 공사의 가짓수가 많고 대규모 공사의 경우 설계부터 오랜 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복구에 속도를 내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는 게 정부 측 설명이다.
대부분 대규모인 재해복구 공사는 속도를 내기 어렵다는 설명은 일리가 있다. 그러나 기상이변이 불러오는 재난은 핑계도 변명도 아랑곳없이 불시에 무자비하게 닥친다. 더 무너지고 부서질 우려가 있는 재해 지역을 방치한 채로 또다시 장마가 저만큼 닥치고 있으니 기막힐 노릇이다.
전문가들은 여름 장마철 전에 지자체마다 우선순위를 정해 시급한 곳부터 복구에 나서고 관계기관 간 협의를 통해 공사에 필요한 행정 절차도 신속히 진행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하다못해 폭우가 내리면 미리 피난이라도 제대로 할 수 있도록 하는 피난시스템이라도 꼼꼼히 챙기고 실행해야 할 것이다. 최소한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은 다 하자. 자연재해를 여전히 하늘의 뜻에다 맡기는 한심한 ‘천수답 대책’ 구태가 안타깝다.
저작권자 © 경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북도민일보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