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텍 노준석 교수 연구팀
IGZO, 나노광학 구조색
디스플레이 기술에 첫 적용
뇌 구조를 모방해 만든 반도체 칩으로 ‘팔색조 컬러’를 구현하는 기술이 개발됐다.IGZO, 나노광학 구조색
디스플레이 기술에 첫 적용
노준석<사진> 포스텍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최근 산화물 반도체에 일종인 IGZO를 이용해 구조색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IGZO는 수소 플라즈마 처리 공정을 거쳐 층 안에 전자 농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시광선 전 영역에서 굴절률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가시광선 영역에서 흡광 계수는 거의 0에 근접하기 때문에 빛 손실이 극히 적어 매우 선명한 색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과 형태의 가변형 컬러 필터를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IGZO 기반의 컬러필터 기술은 4층의 멀티레이어로 구성돼 있으며 파브리-페로 공진 특성을 이용해 선명한 색을 투과시킬 수 있다.
IGZO 층의 전하 농도가 증가할수록 굴절률이 감소하고 이는 선택적으로 투과되는 빛의 공명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했다.
이러한 설계 방식은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컬러필터에 접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 또는 나노 사이즈의 컬러 프린팅 기술에도 접목될 수 있다.
연구팀은 이를 검증하기 위해 마이크로미터 사이즈의 픽셀 크기를 갖는 컬러프린팅 기술을 구현했다.
그 결과 IGZO 층의 전하 농도에 따라 센티미터 또는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컬러픽셀에서 나오는 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기존의 다른 전고체 가변형 재료들에 비해 전자 농도를 통해 굴절률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더욱 안정적으로 그리고 빠르게 구조색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노준석 교수는 “이 연구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나 뉴로모픽 전자 소자 등에 활용되고 있는 차세대 산화물 반도체인 IGZO를 나노광학 구조색 디스플레이 기술에 적용한 첫 사례다”며 “전하농도를 조절함에 따라 투과되는 빛을 임의로 걸러낼 수 있는 이 기술은 차세대 저전력 반사형 디스플레이, 위변조 방지 디스플레이 기술 등에 접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 연구는 삼성미래기술육성센터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연구 결과는 국제 권위지 ‘포토닉스 리서치’ 1일자에 발표됐다.
저작권자 © 경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북도민일보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