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대비 지난해 어획량 14배·위판금액 16배 곤두박질
새 어장 개척·어업규제 철폐·어민지원 등 대책 마련 시급
새 어장 개척·어업규제 철폐·어민지원 등 대책 마련 시급
정부는 낚시로 오징어만 주로 잡아오던 동해 채낚기 어업이 도산위기를 보이자 지난달 3000만 원 긴급경영안정자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하지만 울릉도 어민들의 생계수단인 오징어가 근해에서 완전히 사라져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22일 울릉군에 따르면 지난해 울릉군수산업협동조합(김영복 조합장)에 위판된 물오징어는 출어어선 389척(출어누계), 총 1만1449급(1급 20마리), 위판금액은 6억4044만 원에 그쳤다.
이는 지난 2022년의 출어어선 2530척, 총 16만4218급, 105억7900만 원과 비교해 어획량은 14.34배, 금액은 16.52배 대폭 감소한 수준이다.
울릉수협 소속 오징어 채낚기선 150여 척의 1척당 1년 동안 출어 일수는 2.6일, 어획량은 76.32급(1척당 526.53마리)어선 1 척당 연간 총 수입은 426만9600원이 전부다.
이에 따른 실제 출어어선 수는 60일 조업일 수를 맞추기 위해 오징어 조업을 하지 않고 출어한 어선이 많아 1척당 2.6일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지난 2010년부터 울릉군수협에 위판된 물오징어 기록을 보면 오징어가 점점 고갈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매년 감소와 회복을 반복하면서 소폭 줄어들다가 지난해에는 어민들이 생계가 불가능한 파산 수준이다.
울릉도 어민들은 “과거 명태가 울릉도지역에서 많이 잡히다가 순간 사라져 지금까지 잡히지 않고 있다”며 “어민들은 오징어도 명태처럼 되지 않을까 두렵다”고 하소연 한다.
김해수 (사)전국채낚기실무자 울릉군어업인연합회장은 “오징어가 명태 꼴 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며 정부차원의 어업인 대책마련을 주문하고 나섰다.
정석근 국립제주대 해양생명과학과 교수는 15년 전부터 국제논문과 언론 기고문, 보도자료를 통해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에 따라 방어 삼치 참다랑어와 함께 오징어 서식지가 가장 빨리 북상하고 있다”며“ 정부가 새로운 수산정책을 준비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정 교수는 “해양수산부와 산하 연구기관에서는 명태 살리기에서 볼 수 있듯이 ‘노가리 남획으로 명태가 사라졌다’는 대응 논리로 기후변화가 우리 어업에 미치는 영향을 애써 부정해오다가 최근 부랴부랴 대응 마련에 나서고 있지만 시기를 놓쳤다”면서 “다행히 기후변화로 사라진 명태와는 달리 동해안 오징어 산란장은 여전히 동중국해에 머물러 있고, 동해를 아주 떠난 것은 아니다”며 정부의 발빠른 대책마련을 주문했다.
정 교수는 제주대 수산연구실이 개발중인 오징어 시공간변동 예측 모델 결과를 보면 동해 연안이었던 오징어 주어장이 기후변화로 최근 동해 먼바다로 흩어졌다는 연구결과를 공개했다.
그는 “동해안 어업을 다시 살리려면 먼저 새 어장을 개척하거나 정부가 국제협력을 통해서 바뀐 어장에서 조업을 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하고, 새롭게 잘 잡히는 어종을 잡을 수 있도록 어선 설비 지원과 어구어법을 바궈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정부가 어업규제를 신속하고 과감하게 없애야 어민들이 기후변화 위기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희망이라도 보일 것이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일본 정부는 어민들에게 조업구역과 어구어법, 금어기, 금지체장, 섞어잡기금지와 같은 어업규제를 신속하고 과감하게 없애고 있다”며 “우리 정부도 동해안 어업인들이 기후변화 위기에서 살아남을 수 있도록 발빠른 조치를 해야 어민들이 활력을 찾고 희망이라도 보일 것이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경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북도민일보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