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 징용노동자 80만명’뒷받침 日경찰자료 확인
  • 연합뉴스
`조선인 징용노동자 80만명’뒷받침 日경찰자료 확인
  • 연합뉴스
  • 승인 2014.04.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찰간부출신 다네무라 자료 국립공문서관서 발견 분석

▲ 다네무라 자료 중 일부인 `노무동원 관계 조선인 이주 상황조(調)’. 연합
 일제가 `노무동원’이라는 명목으로 일본 산업시설에 강제연행한 조선인이 약 80만 명이라는 설을 뒷받침하는 일본 경찰 자료가 새롭게 확인됐다.
 일본 내무성 경보국(현재의 경찰청) 이사관을 지낸 다네무라 가즈오(1902~1982) 씨가 소장하다 국립공문서관으로 이관한 자료(이하 다네무라 자료)들에 따르면 일본이 1939년도부터 1944년 9월까지 조선인 59만9306명을 강제연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자료를 발견해 분석한 일제 강제동원 연구의 권위자인 다케우치 야스토(57)씨는 8일 연합뉴스에 이런 사실을 밝혔다.
 다네무라 자료에 따르면 일제가 강제연행한 조선인은 연도(당해 4월부터 다음 해 3월까지)별로 1939년도 7만9660명, 1940년도 8만7133명, 1941년도 7만5155명, 1942년도 12만2262명, 1943년도 11만7943명(이상 총 48만2153명)인것으로 밝혀졌다.
 1944년도의 경우 총 29만 명을 조선에서 데려온다는 계획이 명시돼 있으며 실제연행자 수는 4~9월분(11만7152명)만 나와 있다.
 1944~1945년 기간에 강제연행된 조선인 숫자는 이번 자료에 명확히 나타나 있지 않지만 1944년 11월부터 이듬해 6월까지 약 15만 명이 동원된 것을 비롯해 1944~1945년 총 30만 명이 동원됐음을 보여주는 조선총독부의 관련 자료가 있는 점 등으로 미뤄 이번 다네무라 자료는 `노무동원’ 형태로 끌려간 조선인 강제연행 피해자수는 약 80만 명에 달한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다케우치 씨는 지적했다.
 다케우치 씨는 “조선인 노무동원 피해자 수와 관련, 지금까지 72만 명, 66만 명등의 추정치가 있는데, 그것은 `연고모집(독신 노동자의 가족을 불러오기나 같은 마을의 친지들을 불러들이는 방식의 모집)’ 인원수는 포함되지 않은 것”이라며 “이번 자료의 수치에는 연고모집 인원도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이 자료는 전쟁시기에 내무성 경보국이 자국 내 조선인 노무자 등을 감시하는 데 쓸 예산을 신청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일본의 각 행정단위(도도부현)별로 매년 동원한 조선인의 숫자 등이 명시돼 있다. 자료는 경찰 도서관을 거쳐 현재 일본 국립공문서관에 보관돼 있다. 연합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
  • 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 66-1번지 경북도민일보
  • 대표전화 : 054-283-8100
  • 팩스 : 054-283-5335
  • 청소년보호책임자 : 모용복 국장
  • 법인명 : 경북도민일보(주)
  • 제호 : 경북도민일보
  • 등록번호 : 경북 가 00003
  • 인터넷 등록번호 : 경북 아 00716
  • 등록일 : 2004-03-24
  • 발행일 : 2004-03-30
  • 발행인 : 박세환
  • 편집인 : 모용복
  • 대표이사 : 김찬수
  • 경북도민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북도민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iDominNews@hidomin.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