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사업은 죽어가는 강 살리는 민족 대역사’
  • 경북도민일보
`낙동강사업은 죽어가는 강 살리는 민족 대역사’
  • 경북도민일보
  • 승인 2010.08.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관용 경북도지사가 낙동강 살리기 사업의 필요성과 향후 계획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찬·반 논쟁 넘어 반드시 해야 할 역사적 책임…계획대로 진행돼야”
“제도적 틀 속에서 논의하자”…`낙동강 정책협의체’설치 거듭 촉구

 
  김관용 경북지사는 3일“낙동강 사업은 죽어가는 강을 살리는 것으로 찬·반 논쟁을 넘어 반드시 해야 할 역사적 책임이 있다”고 강변했다.
  김 지사는 이날 기자 간담회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이는 정치나 이념을 떠나 주민 삶과 직결된 사업으로 정쟁의 대상이 아니며, 또 소모적인 정쟁은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낙동강 경북권은 상습수해 지역으로 주민들의 재산과 생명을 보호해야 할 절박한 현실에 처해 있다”면서 “연례행사처럼 겪는 홍수피해와 물 부족 문제등을 해결하기 위해 이 사업을 차질없이 계획대로 진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낙동강 사업 반대와 관련, 김 지사는 “모든 것을 공동으로 풀어나가야 하고, 또 제도적 틀 속에서 논의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낙동강 연안 자치단체 등이 참여하는 `정책협의체’를 설치할 것을 다시 한 번 제안한다”고 밝혔다.
 
▶▶인 터 뷰 - 김관용 경북도지사
 
 -낙동강 사업 왜 해야 하나.
 “낙동강 경북구간은 지난 10년간 발생한 홍수로 피해액이 1조7000억원에 달한다. 복구비만 2조9000억원을 투입했다. 더구나 인명 피해는 135명이 발생했고 이 중 98명이 숨졌다. 그런데도 홍수 피해는 해마다 되풀이되고 있다.
 지금까지 재해가 발생하면 사후 복구에만 치중한데다 홍수와 가뭄, 수질 악화 문제를 개별적으로 접근했기 때문이다. 이 사업은 기존의 패러다임을 전환해 `물’ 문제를 사전에, 그것도 종합적으로 해결하자는 것이다. 죽어가는 강을 살리는 문제는 찬·반 논쟁을 넘어 반드시 해야 할 역사적 책임이다”
 
 -낙동강사업의 기대 효과는.
 “낙동강은 퇴적물로 강바닥이 인근 농지보다 높아 비가 조금만 와도 침수된다. 평시에는 물이 없어 강바닥을 들어낸다.
 유지용수 부족과 빈번한 오염사고, 하천안 농경지로 인한 수질 악화 문제도 개선해야 한다. 따라서 이 사업에 따른 구체적인 효과는 물 부족 해결, 홍수 예방, 수질 개선 등 세 가지다. 우선 물 그릇을 늘려 물부족을 해결한다. 하천 준설과 보 8곳 설치, 댐 2곳 조성 등으로 총 10억2000만t의 물을 확보하게 된다. 또 현재 100년 빈도의 홍수에 대비해 하천정비를 하고 있으나 비만 오면 홍수가 걱정이다. 그러나 이 사업은 200년 빈도의 홍수에 대비하고 있다. 영남인의 식수원인 낙동강 수질도 현재 3∼4등급에서 2등급 수준으로 높아질 것이다”
 
 
 
 
 
 
 
대강 사업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전체 400m 길이의 보 가운데 270m 분량이 마무리된 경북 칠곡군 약목면의 낙동강 칠곡보 현장.
 
 -사업을 반대하는 목소리도 크다.
 “강가에 사는 사람은 낙동강 사업을 반대하지 않는다. `6·2’ 지방선거를 거치면서 주민 삶과 직결된 문제가 정쟁의 대상이 되어 안타깝다. 소모적인 정쟁은 중단해야 한다. 일부에서 반대하는데 그럴 수 있다.
 그런데 분명한 것은 물 관리는 단순 치수·이수를 넘어 `선진국으로 가느냐’, `후진국으로 가느냐’는 미래 문제다. 물 관리를 잘못하면 국가적 재앙도 불러올 수 있다. 따라서 모든 것을 공동으로 풀어나가야 하고, 또 제도적 틀속에서 논의해야 한다.
 이를 위해 낙동강 연안 4개 광역자치단체, 31개 기초자치단체, 민간단체가 참여하는 `낙동강 연안 정책협의체’를 설치할 것을 제안했다. 다시 한 번 이를 촉구한다. 이 틀에서 계속 만나고 끈질기게 대화하고 토론하면 합의점을 찾아낼 수 있다. 대체로 강 살리기는 공감대를 형성할 것으로 생각한다”
 
 -사업을 중단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낙동강은 이를 터전으로 사는 사람이 제일 잘 안다. 비가 조금만 와도 둑이 터지고 물난리가 되풀이된다. 수량부족으로 물이 썩어 악취가 나는 것도 현실이다. 이렇듯 강은 바로 생존과 삶의 터전의 문제다. 더 이상 지체할 수 없는 절박한 현실에 놓여 있기 때문에 계획대로 진행해야 한다.
 낙동강 사업은 주요 공정의 진척도가 30% 이상이고 올해말까지 전체 공정률은 60%에 이른다. 내년 상반기에 하천공사는 모두 마무리한다. 또 영농 및 지장물 보상 실적은 이미 92%를 달성했다. 대다수 주민이 염원하는 만큼 중단할 수 없다”

 -낙동강사업 향후 계획은.
 “경북은 정부의 물길 살리기보다 먼저 2006년부터 강 연안 정비를 위한 `낙동강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와 물길 살리기는 서로 궁합이 잘 맞는 사업으로 물 문제 해결과 강 연안 개발이란 융합의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낙동강 사업 경북구간은 어느 곳보다 모범적이고 선도적으로 벌이고 주요 하천 지류와 샛강도 함께 살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낙동강사업 전반에 대한 정책 자문과 다양한의견 수렴 등을 하는 전문가 중심의 `낙동 그랜드 포럼’을 구성했다. 문화와 경제, 친환경 일자리가 공존하는 낙동강을 만들 것이다. 또 사업을 반대하는 환경·종교단체 등도 계속 설득하고 부족한 부분은 보완해서 추진하겠다”
  /김상일기자 ksi@hidomin.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
  • 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 66-1번지 경북도민일보
  • 대표전화 : 054-283-8100
  • 팩스 : 054-283-5335
  • 청소년보호책임자 : 모용복 국장
  • 법인명 : 경북도민일보(주)
  • 제호 : 경북도민일보
  • 등록번호 : 경북 가 00003
  • 인터넷 등록번호 : 경북 아 00716
  • 등록일 : 2004-03-24
  • 발행일 : 2004-03-30
  • 발행인 : 박세환
  • 대표이사 : 김찬수
  • 경북도민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북도민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iDominNews@hidomin.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