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 공적연금 수급률 32% 불과
  • 연합뉴스
고령자 공적연금 수급률 32% 불과
  • 연합뉴스
  • 승인 2012.07.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인 주식투자인구 100만명 육박, 취업률도 세계 최고 수준

국민연금 고갈 2053년으로 단축…사적연금 의존 더 커질 듯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 수혜를 보는 65세이상 고령자가 전체 고령자의 32%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 재원은 애초 예상한 2060년보다 일찍 고갈되고 그리스 사례를 볼 때 재정을 통한 연금 혜택 확대가 쉽지 않아 사적연금 의존도는 더 커질 전망이다.
 노후에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장수위험’ 때문에 노인 취업률은 30%대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저금리 속에 주식투자에 나선 고령층은 100만명을 향해 가고 있다.
 12일 통계청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65세 이상 공적연금 수급자는 180만179명으로 65세 이상 전체(추계인구)의 31.8%에 달했다.
 국민연금 수급자가 160만5957명(28.3%), 공무원연금은 16만9980명(3.0%), 사학연금은 2만4242명(0.4%)이다.
 고령자 공적연금 수급률은 2007년 22.4%에서 조금씩 증가해 2010년 30.0%에 이어 지난해도 30%대를 유지했다. 하지만 이는 고령자의 70%가량은 노후준비의 `1차방어선’인 공적연금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4년 전부터는 65세 이상 중 재산과 소득이 적은 70%를 대상으로 기초노령연금을주고 있지만 월 최고 지급액이 9만4600원(단독수급자 기준)이다. 노인빈곤 해소에는 턱없이 부족한 액수다.
 과도한 연금 혜택으로 재정난에 허덕이는 그리스 사례를 보면 정부로선 재정을 풀어 공적연금 혜택을 확대하기도 쉽지 않다.

 지난 4월 말 현재 367조원인 국민연금 적립금은 2043년(2465조원)까지 늘어났다가 하락세로 돌아서 2060년 고갈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베이비붐세대가 본격적으로 노령층에 접어들기 시작하면 공적연금 재정문제는 심각해질 것이다.
 국회예산정책처의 `2012~2060년 장기재정전망 및 분석’은 기금고갈 시기를 2053년으로 7년 앞당겨 전망했다. 출산율과 기금 수익률은 더 빨리 떨어지는 탓이다.
 국민연금의 작년 기금 운용수익률은 2.3%(7조600억원)였다. 올해도 4월까지 수익률이 5.5%에 머물고 있다.
 이처럼 공적연금에 대한 믿음이 줄어들며 연금저축, 연금보험, 연금펀드 등의 개인연금과 퇴직연금 같은 사적연금 시장이 급팽창하고 있다.
 퇴직연금 적립금은 5월 말 현재 52조원으로 5년 전인 2007년 5월 말(1조2000억원)보다 42배로 커졌다.
 연금 준비가 어려운 저소득층 노인들은 새 일거리를 찾는 처지다. 노인취업률은1998년 29.0%에서 2004년 30.8%, 2008년 34.5%에 이어 지난해 34.0%였다.
 부동산 경기가 나쁘고 저금리 시대가 이어져 마땅한 수익처를 찾지 못한 고령층중에는 주식에 손을 대는 경우도 있다.
 60세 이상 주식 투자자는 2004년 54만8000명에서 2009년 60만6000명, 2010년 78만3000명에 이어 작년 92만6000명으로 늘었다. 숭실대 이창수 교수는 “하루라도 빨리 스스로 준비하되, 저소득층은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며 “노후대비 자산을 많이 적립하도록 세제혜택을 대폭 확대하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
  • 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 66-1번지 경북도민일보
  • 대표전화 : 054-283-8100
  • 팩스 : 054-283-5335
  • 청소년보호책임자 : 모용복 국장
  • 법인명 : 경북도민일보(주)
  • 제호 : 경북도민일보
  • 등록번호 : 경북 가 00003
  • 인터넷 등록번호 : 경북 아 00716
  • 등록일 : 2004-03-24
  • 발행일 : 2004-03-30
  • 발행인 : 박세환
  • 편집인 : 모용복
  • 대표이사 : 김찬수
  • 경북도민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북도민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iDominNews@hidomin.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