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조절단백질 복합체 구조 첫 규명
국내 연구진이 간세포에서 혈당을 조절하는 과정을 규명, 당뇨병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카이스트의 김학성 교수·최정민 박사팀이 간에서 체내 혈당이 조절되는 근본 원리를 밝혀냈다고 6일 밝혔다.
연구팀은 혈당조절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인 글루코카이네이즈(GK)와 간세포에서 이 효소의 활성을 조절하는 조절단백질(GKRP)의 복합체 구조를 처음으로 규명했다.
이를 통해 GKRP가 혈당치에 따라 세포질 내의 GK양을 조절하며, 특히 짙은 농도의 혈당에 대응해 많은 양의 GK를 세포질로 보냄으로써 혈당을 신속히 낮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래부는 “이 연구결과는 체내 혈당조절을 유도하는 인슐린 중심 당뇨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하고, 혈당조절 자체에 문제가 있는 환자 등 다양한 원인의 당뇨병 치료방법을 개발할 가능성을 열 것”이라고 기대했다.
특히 인슐린 저항성과 합병증의 원인이 되는 심혈관·말초신경 손상 등을 막는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연합
저작권자 © 경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북도민일보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