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행정기관 청년인턴 제도’는 지난해 윤석열 정부가 청년들에게 일 경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도입했다.
청년들이 행정기관에서 일하면서 직무 경험을 쌓고 국정에도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취지에서다.
스펙을 쌓을 기회조차 부족한 비수도권 청년들에게는 반가운 정책이다.
필자는 이러한 정책의 일환으로 현재까지 총 3곳의 공공기관에서 일했다. 최근 울산해양경찰서에서 청년인턴으로 근무하고 있다.
언론영상학과를 전공한 덕분에 관할서 정책홍보실에 배치됐다. 인턴 개개인의 역량에 맞게 부서가 배정됐는데, 이는 단순 사무보조 업무를 지양하고 업무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해양경찰청의 판단이었다.
일부 기관에서는 청년인턴을 의무적으로 고용하고 방임하는 문제가 불거져 제도 자체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인턴으로 근무하기 전에는 ‘해양경찰’이라고 하면 단순히 연안 안전사고만 담당한다고 생각했었다. 그러다 파출소나 전용부두 현장을 다니면서 해양경찰이 해양주권 수호, 해양오염 예방, 선박교통관제 등 폭넓은 임무를 맡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특히 울산 바다의 경우 울산시 육지 면적의 5.6배가 넘을 정도로 광활하기 때문에 각종 해양 사고에 대응하는 전문 인력의 범위가 넓다.
하루는 입항하던 예인선이 침몰했다는 다급한 목소리가 무전을 타고 들려왔다. 곧바로 관서 내 방송을 통해 비상소집이 진행됐고 모두가 상황실로 모였다. 늦은 저녁 시간에도 분주히 움직이는 해양경찰의 모습을 옆에서 지켜보며 그들이 가진 사명감과 책임감을 느낄 수 있었다.
그날의 긴박했던 상황을 몸소 겪으며 연안 사고의 위험성을 처음으로 체감했고, 밤낮 없이 국민과 국가를 위해 희생하는 해양경찰의 노고에 대해 생각하게 된 계기가 됐다.
지난 해양경찰 청년인턴 생활은 직무 경험과 조직 이해 두 마리 토끼를 다 잡게 해줬다. 전공을 살려서 ‘소화기 및 SOS 구조버튼 작동법’ 영상을 제작해 개인적인 성취감을 느꼈고 꿈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었다.
이처럼 각 공공기관이 청년인턴을 그저 골칫거리로 여기지 않고 역량을 펼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제공한다면, 청년인턴 제도의 효과는 우리 사회에 선순환으로 돌아올 거라고 믿는다.
매서운 바다에도 당당하게 맞서는 해양경찰처럼 우리 청년들이 꿈과 열정을 잃지 않았으면 한다. 박정은 울산해경 청년인턴
저작권자 © 경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북도민일보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