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의 안녕과 한해 풍년을 비나이다~”
  • 경북도민일보
“마을의 안녕과 한해 풍년을 비나이다~”
  • 경북도민일보
  • 승인 2009.02.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보름에 다시 찾아보는 토속신앙 `안동동제’  
 
사진 왼쪽부터 신목고유제, 왕모당동제, 가송마을부인당.
 
 
 
 
동제(洞祭)는 마을 수호신을 숭상하고 동민(洞民)들의 수호(守護), 안녕(安寧), 풍년(豊年)을 기원하기 위해 마을사람들이 공동으로 신(神)에게 제사를 지내는 민간의례의 하나로 대개의 경우 정월 대보름이나 2월, 5월, 10월 등에  지내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 공민왕을 기억케 하는 안동동제
 마을을 지켜주는 신을 우리는 동네 동자를 써서 동신(洞神)이라 하고 지역에 따라서 서낭신 또는 성황신이라 부르는데, 이러한 명칭의 차이는 신체가 나무일 경우에는 서낭신이라 부르고, 당집을 지어서 신을 모시는 경우에는 성황당(城隍堂)이라 한다.
 흔히 동수나무라 부르는 신목 기암괴석이나 돌무더기를 쌓아 올린 누석단 기와나 초가로 지은 당집에 신체를 모시고 있는 경우 장승과 솟대가 결합돼 있는 형태 등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농경생활을 위주로 한 전통사회에는 마을마다 동신을 모시고 있었으며 과학문명이 고도로 발달한 지금도 이와 같은 골매기신을 모시는 전통은 이어지고 있다.
 안동 지방은 그 유풍이 더욱 더 두드러진 것 같다. 공민당과 관련된 제당은 전국에 약 14 개소에 이르고, 안동소재 공민왕 관련 동제당도 7곳으로 이 중 현재 동제를 지내는 곳도 여섯 곳이나 된다.
 가송리 딸당에서는 8일 밤 10시 도산주민, 왕모산성 내살미 왕모당은 9일 오전 7시 도산원천 주민, 수리 국산당은 9일 오전 9시30분 풍산면 수리주민, 용상도 공민왕당은 8일 밤 11시 용상주민, 신남리 정자골 며느리당은 8일 밤 11시 예안면 신남리 주민들이 동제를 지내는 등 신남리 높은대 딸당을 제외한 여섯 곳에서 동제를 지낸다.
 안동과 고려 공민왕의 인연은 1361년부터이다. 안동은 이때 70일간 고려의 수도 역할을 담당했고, 이때의 역사가 동제에 스며들어 있어 항상 이때만 되면 공민왕을 기억케 한다. 그래서 동제를 지내는 동네를 찾아가 보면 당시 공민왕의 행적이 동제에 내재되어 있다.
 추모의 대상으로 공민왕의 딸을 추모하는 당이 7개소 중 3곳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공민왕, 며느리 그리고 장군형상 순이다. 형태로는 당집(성황당)이 4개소로 많고, 웅상 나무(서낭신)가 3개소이다.
 
 # 서낭당 형태 지역마다 다양
 서낭당의 형태가 아주 다양 하듯이 각 지방의 신앙형태도 또한 다양하다. 행주산성과 왕모산성을 비교하면, 행주산성에서 아낙네들이 행주치마로 돌을 나르고 그 돌로 왜구를 물리쳤다는 이야기에서 알 수 있듯이 산성 안에 돌무더기의 서낭당이 많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왕모산성에는 몽고병을 물리친 `백마탄 노장수의 넋을 기리고자 건립된 왕모당’의 목신상이 수백 년이 지난 지금도 성을 지키고 있기도 하다.
 거칠게 쌓여있는 돌 더미, 바람벽에 한자로 씌어져 있는 것, 신비로운 존재가 그려져 있는 거친 그림, 헤어진 짚신이나 누더기가 다된 천조각과 색이바랜 검은 머리카락의 타래 뭉치가 매달려 짚으로 엮은 끈같은 모습, 야생 조수의 깃털 등 지역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하고 있다.  

 # 동제는 마을의 축제
 동네의 안녕과 복을 주는 수호신을 위한 제사인 동제 또는 서낭제(洞祭, 堂祭)는 약 보름 동안에 걸쳐 동민들의 정성을 모아 치루고 있는데, 유교적 절차에 의해 행해지고 있지만 지역마다 다소 다르다.
 제사에 관한 기록은 고려사에 의하면 문종 때 처음 제사를 지내게 했다는 기록이 나오고, 조선시대에 와서 통합해 재배치했다는 설도 있다. 조선 중기에 이르러 관제화된 서낭당은 지방의 유력세력들이 장악하게 되었는데, 이때부터 서낭제 또한 민간이 제사 지내는 곳으로 변화돼 왔다.
 보통 열나흘 날이 되면 마을마다 동제 이벤트라 할까… `불꽃놀이’가 마을마다 벌어지고, 이와 때를 같이해 성황당에서는 청솔 잎을 태우며 연기를 피워 올리는 모습은 마치 변란을 당할 때의 `봉화대’를 연상케 하기도 했다. 당시 화목중심의 농촌에는 동제 참여자들의 보온을 위해 불을 놓았다.
 음복은 가족의 건강을 위하고 종이는 학문을 위해서이다. 이렇듯 마을 주민들의 정성이 15일간 모아지는 축제, 정성스러운 마음으로 마을의 안녕과 가정의 화목함을 기원하는 동네 축제가 바로 동제인 것이다.  
 
 # 다시 찾는“자연 숭상의 동제”
 “한국 정신문화의 수도인 안동지역”의 동제는 타 지역과 다르다. 정월 열나흘이 되면 시장은 집사의 배종을 받으면서 옛 안동부 자리인 현 웅부공원의 8백년 수령인 부신목(府神木)에 시민의 안녕과 국태민안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내고, 같은 시간 각 마을에서는 동민들이 모여 동제가 올렸다.
 특히 안동에 공민왕 관련 동제는 관내 6곳에서 올려 졌는데 지난 2004년부터 시에서 세계역사도시에 걸 맞는 전통문화로 전승 보존해 나가고 있다. 안동지방은 대부분 씨족 공동체를 중심으로 마을을 형성하고 있는 집성촌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마을 공동체는 씨족으로 혈연 공동체를 종으로 결속시키고, 동제로 자연공동체를 횡으로 결속시킨다. 이처럼 우리의 전통마을은 이러한 다양한 문화적 장치를 바탕으로 독특한 문화를 창조하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김휘동 시장이 지난 99년 칼럼에서 밝혔듯이 동제는 순수한 민간 신앙의 대상이요 가장 한국적인 정신문화의 대명사로 민초들의 마음을 결집하고 지역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800여 년 동안 안동을 지켜 준 `부신목’에 대보름을 맞아 올해도 경건한 마음으로 고개 숙여 숭상의 예를 올린다. 한편, 김휘동 안동시장은 정월대보름을 맞아 지역발전과 17만 시민의 안녕을 기원하며 8일 자정 웅부공원에서 `안동부 신목고유제’를 올린다.
  안동/권재익기자 kji@hidomin.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