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민일보] 포항의 북구 두호동, 아직 문을 열지 못한 대형마트가 포항 호텔 옆에 덩그러니 서있다. 인근 주민들은 이 건물을 오갈 때마다 안타까운 마음을 감추지 못하고 있고 포항시에서는 죽도시장과 중앙상가의 눈치를 보느라 허가신청을 반려에 또 반려를 하며 전전긍긍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포항시의 남구와 북구의 대형마트의 입점 허가에 대한 행정의 난맥상을 보니 참으로 아쉽다는 생각이 든다.
북구의 대형마트는 과거 포항시에서 얼른 지으라고 하고선 나몰라라했다. 남구에는 대형마트가 들어서도록 도시계획까지 변경을 해주며 지난주 건축허가까지 일사천리로 진행을 하는 모습을 보며 포항시 행정의 무원칙성에 대하여 참으로 개탄스럽다는 생각이 든다. 포항시 스스로 행정의 원칙을 포기한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기만 하다.
과거 조선이 망한 이유 중 가장 큰 문제가 쇄국주의였다. 서구의 문물이 얼마나 발전하고 변화하였는지를 전혀 알지 못하던 조선의 위정자들은 굳게 나라의 문을 닫아걸고 겁에 질린 채 벌벌 떨다 오천년 역사에 결국 망국(亡國)이라는 천추의 한을 후손들에게 남기고 말았다. 세상은 단 하루도 머무르지 않는다. 세상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결국 그 변화에 적응하는 자들만이 살아남는다. 포항도 마찬가지이다. 철강산업의 하락세로 지역민들이 체감하는 지역경기는 바닥을 치다 못해 지하로 들어가고 있다.
그러나 위정자들은 선거를 의식, ‘재래시장 살리기’란 구호를 외치고 있다. 이 때문에 외지 투자가 급속히 줄어들고 있고 이미 투자한 기업마저 포항시의 갑질 행정에 대해 몸서리를 치는 지경이다.
지금 포항시 행정의 행태로 봤을때 북구 남빈 사거리에 ‘대형 백화점이 입점한다’고 가정해보자. 포항시는 분명, 전통재래시장 살리기란 명분으로 거부할 것이 자명하다.
과거 일본과 프랑스에서도 대형매장을 도심 밖으로 몰아내던 정책으로 도심의 공동화를 더 가속화 시킨다는 결론을 얻고 그 정책을 포기한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포항시는 정신을 못 차리고 구태의연한 낡은 정책을 들고 시민들을 더 고통스럽게 하고 있으니 참으로 딱할 노릇이다.
언제까지 포항 시는 중앙상가와 죽도시장이라는 정치적 프레임에 갇혀 도시 전체의 기형적 발전을 가속화 하여야 하는 것일까? 시도국비로 95%를 들이고 자기 부담금 5%를 내고 설치하는 죽도시장 아케이드가 그 5%에 불과한 자기부담금을 내기 싫어 이빨 빠진 것처럼 뻥뻥 뚫려있는 것을 바라보며 대다수 시민들은 어떤 생각을 해야할까? 선거철만 되면 전통재래시장을 살리자는 명분으로 온갖 선심성 공약을 남발하고 마치 자신의 돈처럼 펑펑 사용하는 것을 바라보는 포항 시민들의 마음은 어떠할까?
죽도시장과 중앙상가 외에도 살고 있는 사람들도 모두 포항 시민들이다. 두호동 주민들과 양덕동 주민들, 북쪽의 시민들도 대형마트가 필요하고 전통재래시장도 필요하다. 나만이 살아야 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 나의 이웃이나 가족이 전통재래시장에서 장사를 할 수도 있고 대형마트에서도 근무를 할 수 있다. 이제는 전통재래시장과 그 외 지역의 시민들도 함께 살아야 한다.
포항시에서는 현재 2%대에 머물러 있는 지역 농수산물의 대형마트 납품 비율을 5~10%까지만 올려도 농수산업에 종사하는 많은 시민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포항시는 모든 포항시민들이 골고루 함께 살도록 행정을 하여야 한다. 그것만이 포항시민들을 위한 길이며 포항시 행정이 나아갈 올바른 길이라 생각하며 글을 맺는다.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