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6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135일의 기적’ 포스코, 탄탄한 미래 경쟁력 재확인 ‘135일의 기적’ 포스코, 탄탄한 미래 경쟁력 재확인 포스코가 사상 최악의 태풍 침수 피해를 극복하고 기업의 미래 경쟁력 확보에 중점을 두고 있다.포스코는 지난해 9월 6일 태풍 힌남노와 포항제철소 인근의 냉천 범람으로 제철소의 대부분이 침수되는 사상 초유의 위기를 맞았다.천재지변이라는 폭우의 위기와 전체 공장의 가동 중단이라는 엄청난 피해에 포스코는 담대하게 맞섰다.포스코그룹 임직원과 민·관·군을 포함한 연인원 약 140만여 명의 헌신적인 노력과 열정으로 포항제철소의 복구가 시작됐다.여기에 포스코 명장 등 전문 엔지니어들이 보유한 세계 최고의 조업·정비 기술력이 더해졌다.이후 물에 기획시리즈 | 이진수기자 | 2023-03-27 18:46 포스코, 글로벌 그린철강 시대 이끈다 포스코, 글로벌 그린철강 시대 이끈다 철은 인류 문명의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왔다.그러한 철이 이제는 환경오염이라는 인류 공동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철강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기 때문이다.국내는 2018년 기준(직접+공정배출) 철강산업이 약 40%를 비롯해 석유화학과 정유산업 22%, 시멘트 15%, 반도체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기·전자 8%, 자동차·조선 등을 포함하는 기계산업이 1.2%의 탄소를 배출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포스코를 비롯해 세계 철강사들은 친환경적인 철강 제조 기술을 다각도로 연구개발(R&D)을 하고 있다.포스코는 포항·광양제철소에 대 기획시리즈 | 이진수기자 | 2023-01-09 17:35 절망에서 희망으로 위기는 위대함으로… 포스코, 100년 기업 향해 다시 뛴다 절망에서 희망으로 위기는 위대함으로… 포스코, 100년 기업 향해 다시 뛴다 2023년 새해가 밝았다. 한해가 가면 새로운 한해가 오는 것이 순리이지만, 포스코에게 2022년을 보내고 새해를 맞는 감정은 여느 해보다 다르다.2022년 9월 6일 태풍 힌남노가 할퀴고 간 포항제철소는 그야말로 폐허와도 같은 재기불능의 거대한 철 구조물 같았다.그런 포항제철소를 다시 일으켜 세우고 1월 완전체의 정상 가동에 들어가는 포스코로서는 새해를 맞는 감회가 새삼 다를 수 밖에 없다.포스코가 포항에 제철소를 창립한 1968년 4월 이후 최대의 ‘위기’를 가장 ‘위대’하게 극복한 것이다.이백희 포스코 포항제철소장은 “지난 5 기획시리즈 | 이진수기자 | 2023-01-01 17:59 회색빛 제철소는 NO, 포항제철소는 ‘초록빛’ 회색빛 제철소는 NO, 포항제철소는 ‘초록빛’ 포스코 포항제철소 탄소중립 정책 현재와 미래포스코 포항제철소의 전체 부지는 950만㎡(287만 평)이다. 이 가운데 약 24%인 220만㎡가 녹지공간으로 구성돼 있다.국내 최초의 일관제철소인 포항제철소 녹지공간이 서울 월드컵공원의 무려 10배인 셈이다. 나무만 193만 주다.소나무를 비롯해 해송, 팽나무, 회화나무, 카이즈카향나무, 왕벚나무 등과 철쭉, 영산홍, 사철나무, 꽃댕강 등의 다양한 교목과 관목이 어우려져 있다.포항제철소보다 면적이 2배 이상 넓은 광양제철소는 전체 부지 2135만㎡(638만 평) 중 22% 규모인 469만 기획시리즈 | 이진수기자 | 2022-12-20 18:48 포스코, 환경 생각하는 친환경 제철소 선도 포스코, 환경 생각하는 친환경 제철소 선도 포스코 포항제철소 탄소중립 정책 현재와 미래철을 만드는 원료는 석탄, 석회석, 철광석 등이다.우리나라는 이러한 천연자원의 부족으로 호주, 브라질 등에서 수입하고 있다.원료는 포스코 포항제철소에 하역된 후 쇳물을 만드는데 사용된다.대규모 원료를 야드(옥외)에 보관할 경우 바람과 강우에 의해 손실된다.특히 바람에 의한 원료 가루의 비산으로 환경오염을 유발한다.물론 원료에 덮개를 씌우는 복포 작업과 표면 경화제를 살포해 표면을 굳게 만들어 비산을 억제하고 있으나 원천적인 차단에는 한계가 있다.포스코는 이에 따른 대책으로 원료 저장시설의 기획시리즈 | 이진수기자 | 2022-12-01 18:45 포스코 ‘친환경 제철소 구현’ 착착 포스코 ‘친환경 제철소 구현’ 착착 세계가 이산화탄소 등에 의한 온실가스로 인해 기후변화, 나아가 기후위기로 가고 있다.쾌적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인간 삶을 영위하기 위해 세계는 뒤늦게 나마 ‘탄소중립’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탄소중립은 산업혁명 이후 발전 모델의 한계에 대한 인식과 반성에 출발했다.즉 기존의 성장 방법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것이다. 현재와 같은 대량생산과 대량소비, 자본축적은 모두 화석연료에 기반하며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해서는 이를 전환하지 않으면 안된다.철강산업은 탄소를 발생시킬 수 밖에 없는 공정 시스템으로 글로벌 철강사들은 탄소중립을 위해 연구 기획시리즈 | 이진수기자 | 2022-11-16 17:50 처음처음1끝끝